Duk's Insight
close
프로필 배경
프로필 로고

Duk's Insight

  • 분류 전체보기
    • 경제공부
      • 재무제표 읽는 법
      • 기초 시리즈
      • 지정학
    • 시황분석
    • 가치투자
    • 기업분석
      • 옥시덴탈 페트롤리움[OXY]
      • 유어에너지[URG]
  • 홈
  • 투자&경제 기초
  • 재무제표 읽는 법
  • 시황분석
  • 가치투자
  • 기업분석
  • 지정학
2025 IMF 4월 세계경제전망 보고서 정리

2025 IMF 4월 세계경제전망 보고서 정리

2025년 4월, 국제통화기금(IMF)은 세계경제전망(World Economic Outlook) 보고서를 발표하며 전 세계 경제의 둔화 가능성을 경고했다.이번 보고서는 단순히 성장률 수치를 제시하는 것을 넘어, 다양한 시나리오를 분석하고 구체적인 정책 권고까지 포함해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을 보다 현실적으로 전달하고자 했다.특히 미·중 갈등과 고금리 여건 속에서 한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들의 성장률이 크게 낮아졌다는 점에서 시사점이 크다. 성장률 하향 조정, 그 배경은?IMF는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기존 3.3%에서 2.8%로 대폭 하향 조정했다.이처럼 전망치가 낮아진 배경에는 세 가지 글로벌 리스크가 자리 잡고 있다.1. 미·중 무역 갈등의 심화세계 양대 경제 강국의 대립은 글로벌 공급망에 직접적인..

  • format_list_bulleted 시황분석
  • · 2025. 4. 24.
  • textsms
기술 패권과 블록화 미국의 동맹 전략과 중국의 자립화 노선

기술 패권과 블록화 미국의 동맹 전략과 중국의 자립화 노선

요약미중 갈등은 이제 기술과 공급망, 산업 주도권을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미국은 동맹국들과 협력해 반도체, 배터리, AI 등 핵심 산업에서 중국을 배제하는 전략을 강화하고 있으며, 중국은 이에 대응해 국산화와 기술 자립을 핵심 전략으로 추진 중이다. 세계는 점점 더 양극화되고 있으며, 글로벌 경제 질서는 새로운 블록 구도로 재편되고 있다.  기술이 곧 패권: 산업 전략의 중심이 된 반도체 반도체는 21세기 경제와 군사의 핵심 인프라다.스마트폰, 전기차, 인공지능, 방위 산업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필수 부품이기 때문에, 이를 누가 설계하고 생산하느냐는 곧 기술 패권을 의미한다. 미국은 그동안 반도체 설계(팹리스) 분야에서 절대적 우위를 점해왔고, 소프트웨어와 장비 부문에서도 독보적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

  • format_list_bulleted 경제공부/지정학
  • · 2025. 4. 11.
  • textsms
시진핑의 장기 집권과 대만 문제

시진핑의 장기 집권과 대만 문제

요약시진핑 체제는 중국의 장기 전략을 보다 명확하게 드러내고 있다.내부적으로는 권력 집중과 정치적 안정이 강조되고, 외부적으로는 대만 통일 문제를 포함한 강경한 외교 노선이 부상하고 있다. 대만은 미중 갈등의 가장 민감한 화약고로, 양국 간 무력 충돌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다.하지만 실질적 전쟁은 서로에게 큰 부담이 되기에, 긴장과 억제가 공존하는 불안정한 균형이 유지되고 있다.  시진핑의 권력 집중과 체제 재편2012년 집권 이후 시진핑은 중국 공산당 내에서 점점 더 강력한 권력을 행사해왔다.과거에는 집단지도체제를 통해 권력 분산을 유지했지만, 시진핑은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을 내세우며 1인 중심 체제를 강화했다. 2018년에는 국가주석 임기 제한조항을 삭제하면서 장기 집권의 길도 열어두었다. 시진..

  • format_list_bulleted 경제공부/지정학
  • · 2025. 4. 11.
  • textsms
중국의 정책 일대일로 그리고 한국과 일본의 전략

중국의 정책 일대일로 그리고 한국과 일본의 전략

요약중국은 경제 성장을 바탕으로 글로벌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전략을 구체화하고 있다.일대일로와 AIIB(Asian Infrastructure Investment Bank)는 미국 중심의 질서에 대응하는 수단으로 등장했고, 이는 중국이 독자적인 국제경제 네트워크를 구축하려는 시도로 해석된다.이 과정에서 한국과 일본은 전략적 선택을 강요받고 있으며, 동아시아 전체의 외교 지형이 요동치고 있다.  중국의 야심찬 외교경제 전략, 일대일로중국이 시진핑 집권 이후 본격적으로 추진한 대표적인 전략이 바로 일대일로이다.이는 육상 실크로드와 해상 실크로드를 복원한다는 명분 아래, 아시아·유럽·아프리카를 잇는 인프라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초대형 프로젝트이다. 중국은 도로, 철도, 항만, 에너지 시설 등 각종 인프라 사업에 막..

  • format_list_bulleted 경제공부/지정학
  • · 2025. 4. 11.
  • textsms
미중 패권 경쟁의 전개 무역전쟁 금융전쟁 그리고 확장주의

미중 패권 경쟁의 전개 무역전쟁 금융전쟁 그리고 확장주의

요약 미중 관계는 초기엔 상호 보완적 윈윈 구조였지만, 시간이 흐르며 경쟁과 견제의 구도로 전환되었다.중국의 경제력과 기술력이 빠르게 성장하자 미국은 디커플링과 디리스킹 전략을 꺼냈고, 무역전쟁과 금융 압박이라는 수단을 통해 패권을 유지하려는 움직임을 본격화했다.양국은 더 이상 협력보다는 견제의 시대에 접어들었다.   협력에서 경쟁으로: 무르익은 윈윈 구조의 균열1970~80년대 미국과 중국은 서로에게 중요한 경제 파트너였다.중국은 덩샤오핑의 개혁·개방 정책을 통해 외국인 직접투자(FDI)를 적극 유치하며 산업화를 빠르게 추진했고, 미국은 값싼 노동력과 안정적인 생산 기지를 중국에서 확보할 수 있었다.양국은 공급과 수요, 자본과 생산이라는 면에서 이상적인 상호 보완 관계를 형성하며 세계화의 중심 축으로 ..

  • format_list_bulleted 경제공부/지정학
  • · 2025. 4. 11.
  • textsms
미중 관계의 시작

미중 관계의 시작

요약냉전 시대, 공산 진영 내부의 균열은 새로운 외교 지형을 낳았다. 흐루쇼프와 마오쩌둥의 갈등, 그리고 미국의 베트남 전쟁 개입은 미중 양국이 전략적으로 손을 맞잡게 되는 계기를 제공했다. 이 해빙은 단순한 외교 이벤트가 아니라, 냉전 질서 속에서 서로의 목적을 달성하려는 정치적 거래였다.  스탈린 사망과 공산 진영의 균열1953년 3월, 소련의 독재자 스탈린이 사망한 뒤 권력을 잡은 니키타 흐루쇼프는 이전과는 확연히 다른 정책 기조를 보이기 시작했다.그는 스탈린의 독재 체제를 강하게 비판하며 ‘탈스탈린화’를 선언했고, 일정 부분 자유화를 시도했다. 이는 소련 내부에는 긍정적인 변화로 받아들여졌지만, 공산 진영의 다른 지도자들, 특히 마오쩌둥에게는 심각한 위협으로 인식되었다. 마오쩌둥은 스탈린 체제 하..

  • format_list_bulleted 경제공부/지정학
  • · 2025. 4. 11.
  • textsms
  • navigate_before
  • 1
  • 2
  • 3
  • 4
  • ···
  • 14
  • navigate_next
인기 글
최근 글
전체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 경제공부
      • 재무제표 읽는 법
      • 기초 시리즈
      • 지정학
    • 시황분석
    • 가치투자
    • 기업분석
      • 옥시덴탈 페트롤리움[OXY]
      • 유어에너지[URG]
Copyright © 쭈미로운 생활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JJuum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