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좋은 기업을 싼 가격에 사는 것이 가능할까?
가치투자자라면 누구나 이러한 고민을 해봤을 것이다. 하지만 시장의 변동성과 감정적 투자는 가치 있는 기업을 적정 가격에 매수하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의 유명 투자자 조엘 그린블라트(Joel Greenblatt) 는 마법공식(Magic Formula Investing) 을 제안했다. 이 전략은 기업의 수익성(ROC, 자본수익률)과 저평가 여부(EV/EBIT, 기업가치 대비 영업이익)를 기준으로 종목을 선정하는 방식이다. 마법공식은 기계적인 투자 접근법을 통해 감정적 개입을 최소화하고 장기적으로 시장을 초과하는 수익률을 기록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 글에서는 마법공식의 개념과 투자 과정, 장단점, 실전 적용 방법을 분석하고, 실제 투자에 활용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마법공식이란?
마법공식은 조엘 그린블라트의 저서 《주식시장을 이기는 작은 책(The Little Book That Beats the Market)》에서 소개된 투자 전략이다. 핵심 개념은 좋은 기업을 싼 가격에 사라는 것이다. 이를 위해 두 가지 기준을 사용한다.
좋은 기업의 조건: ROC (Return on Invested Capital, 투하자본수익률)
- ROC는 기업이 자본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용하는지 측정하는 지표다. 즉, 기업이 주어진 자본을 활용하여 얼마나 많은 이익을 창출하는지 나타낸다.
- ROC 공식:
ROC = Net Operating Profit After Taxes(NOPAT) / Invested Capital(IC)
- 높을수록 좋은 기업으로 평가된다.
- ROC가 높은 기업은 자본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경쟁력이 강하고,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수익 창출이 가능하다.
싼 기업의 조건: EV/EBIT (Enterprise Value / EBIT, 기업가치 대비 영업이익 비율)
- EV/EBIT는 기업이 시장에서 얼마나 저평가되었는지를 측정하는 지표다.
- EV (기업가치, Enterprise Value):
Enterprise Value(EV) = Equity Value + Debt + Preferred Stock + Noncontrolling Interests – Cash
- EBIT (영업이익, Earnings Before Interest and Taxes)
- 영업 활동에서 발생한 수익으로, 이자와 세금을 제외한 기업의 핵심 수익성
- 낮을수록 저평가된 기업을 의미한다.
- 예: EV/EBIT가 5라면, 투자금의 5배만큼의 영업이익을 내는 기업이라는 의미이다.
즉, 마법공식은 ROC가 높은 기업(좋은 기업) 중에서 EV/EBIT가 낮은 기업(싼 기업) 을 찾아 투자하는 방식이다.
마법공식 투자 과정
마법공식을 적용하는 방법은 매우 간단하다.
1. 투자 유니버스 설정
- 시가총액이 일정 규모 이상인 기업만 포함 (예: 500억 원 이상)
- 금융업 및 유틸리티 기업 제외 (회계 구조가 다름)
2. ROIC와 EV/EBIT 순위 매기기
- ROIC 높은 순으로 순위 매김 (1위가 가장 높은 기업)
- EV/EBIT 낮은 순으로 순위 매김 (1위가 가장 저평가된 기업)
3. 두 순위를 합산하여 종합 순위 결정
- ROIC 순위 + EV/EBIT 순위 = 최종 점수
- 점수가 낮을수록 우선 투자 대상
4. 상위 20~30개 종목을 선정하여 투자
- 동일 비중으로 포트폴리오 구성
- 1년마다 리밸런싱
마법공식의 성과는 어떨까?
조엘 그린블라트는 1988~2004년 기간 동안 마법공식을 테스트한 결과를 공개했다.
- S&P 500 평균 연간 수익률: 9.5%
- 마법공식 평균 연간 수익률: 23.8%
장기적으로 시장을 압도하는 성과를 기록했다. 하지만 단기적으로는 시장보다 성과가 저조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 전략을 사용할 때는 적어도 3~5년 이상 투자해야 한다.
Duk's Insight
나는 그린블라트의 마법공식이 가치투자자에게 매우 효과적인 전략이라고 생각한다. 좋은 기업을 저평가된 가격에 매수한다는 원칙을 기반으로 하며, 감정적 개입을 최소화할 수 있어 장기적으로 유용하다.
하지만 마법공식을 조금 다르게 적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도 있다.
① ROIC vs. ROC
- ROC 대신 ROIC(Return on Invested Capital)를 사용하는 것이 더 정확한 지표라고 생각한다.
- ROIC는 기업의 실제 투자 자본 대비 수익성을 평가하는 데 유용하다.
② EV/EBIT vs. EV/EBITDA
- EV/EBIT 대신 EV/EBITDA를 적용하는 것이 저평가된 기업을 식별하는 데 더 적합할 가능성이 있다.
- EBITDA는 감가상각 및 이자 비용을 제외하여 영업이익을 보다 정확하게 반영한다.
③ ROIC 평균회귀 활용
- 나는 ROIC 평균회귀(mean reversion)를 신뢰하기 때문에, ROIC가 높은 기업보다 낮은 기업을 선정하는 전략이 장기적으로 더 효과적일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 즉, 좋은 기업을 싼 가격에 사는 것이 아니라, 안 좋은 기업을 극도로 저렴한 가격에 사는 전략이 더 유리할 수도 있다.
④ 실전 적용
- 마법공식은 이미 검증된 강력한 가치투자 전략이다.
- 하지만 투자자의 스타일과 시장 환경에 따라 변형하여 활용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추가 자료 & 코드 공개
마법공식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하고 싶다면, 아래의 관련 글을 참고하면 도움이 될 것이다.
- 기업배수를 이용한 저평가주 발굴과 ROIC 평균회귀 투자 전략
2025.02.25 - [가치투자] - 기업배수를 이용한 저평가주 발굴과 ROIC 평균회귀 투자 전략
기업배수를 이용한 저평가주 발굴과 ROIC 평균회귀 투자 전략
기업배수를 활용한 저평가주 찾기기업배수는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며, 기업배수의 특성은 현금 보유를 많이 한 기업을 좋아하고 부채가 많은 기업을 싫어하는 것이다.
duksight.tistory.com
- 그린블라트의 마법공식 코드 공개
2025.03.04 - [가치투자] - 그린블라트의 마법공식 코드 공개
그린블라트의 마법공식 코드 공개
개요조엘 그린블라트(Joel Greenblatt)의 마법공식(Magic Formula Investing) 은좋은 기업을 저평가된 가격에 매수하는 전략으로, 가치투자자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다.이전 글에서 마법공식의 개념과 원리
duksight.tistory.com
마법공식을 직접 적용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 ROIC 내림차순: 그린블라트의 마법공식
- ROIC 오름차순: 제안한 방법
- ROIC 내림차순: 그린블라트의 마법 공식
- ROIC 오름차순: 제안한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