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의 관세 정책 부활과 시장 충격
2025년 2월 27일,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를 공식 발표하면서 글로벌 금융 시장이 요동쳤다. 트럼프는 “중국이 미국에 대한 경제적 위협을 지속하고 있으며, 불법 마약인 펜타닐 유입을 막지 못하고 있다”는 이유를 들며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이 조치는 3월 4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며, 캐나다와 멕시코로부터 수입되는 일부 품목에도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덧붙였다.
이 발표 직후, 미국 증시는 즉각적으로 반응했다. 특히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하루 만에 2.78% 폭락하며 18,544.42로 마감했다.
S&P 500 지수도 1.59% 하락하며 5,861.57을 기록했고,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역시 0.45% 내린 43,239.50으로 거래를 마쳤다. 투자자들은 관세 인상이 기업 실적에 미칠 영향을 우려하며 대규모 매도를 단행했다.
기술주 실적 부진과 관세 영향
이번 폭락의 주된 원인 중 하나는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Nvidia)의 실적 부진이었다. 엔비디아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분기 실적을 발표했고, 이로 인해 주가는 7% 이상 급락했다. 엔비디아뿐만 아니라, AI 및 클라우드 관련 주요 기술 기업들도 동반 하락했다.
일부 투자자들은 관세 인상이 반도체 및 IT 하드웨어 산업에 미칠 영향을 우려하며 시장에서 발을 빼는 모습이었다.
한편, 중국은 미국의 관세 인상에 강하게 반발하며 미국산 원유, 농기계, 자동차, 석탄 등 주요 수입품에 대해 10~15%의 보복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중국 정부는 “미국의 일방적 조치에 대응하여 우리의 정당한 경제적 이익을 보호하겠다”며 강경한 입장을 밝혔다. 보복 관세는 3월 10일부터 적용될 예정이다.
이처럼 미중 무역 갈등이 다시 격화되면서, 시장에서는 불확실성이 급격히 증가했다. 경제 전문가들은 단기적으로 미국 소비자 물가 상승과 기업들의 생산 비용 증가로 인해 경기 둔화가 더욱 가속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하고 있다.
Duk's Insight
나는 트럼프가 이번 관세 정책을 통해 단기적으로 시장의 불확실성을 키우면서도, 결국에는 중장기적인 미국 경제 활성화를 염두에 두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번 발표가 나오기 전까지 시장에서는 연준(Fed)의 금리 인하 기대가 높았는데, 트럼프의 강경한 무역 정책이 발표되면서 연준이 금리를 쉽게 내리지 못할 분위기가 조성되었다. 즉, 트럼프는 연준의 금리 인하 속도를 늦추면서도, 이후 경기 둔화가 심화될 경우 금리를 대폭 인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려는 전략을 쓰고 있는 것 같다.
이전에도 나는 트럼프의 관세 정책은 단순한 보호무역이 아니라, 글로벌 경제 패권을 두고 중국을 압박하는 전략적 도구라고 분석한 적이 있다. 관세를 통해 단기적으로 인플레이션을 자극하면서 연준의 움직임을 컨트롤하고, 이후 금리를 낮추면서 미국 제조업과 자국 내 산업 투자를 유도하려는 그림이 보인다. 이는 단순한 시장 변동성 문제를 넘어, 향후 글로벌 경제 질서 재편을 위한 트럼프의 빅픽처일 가능성이 크다.
나스닥이 단기적으로 급락했지만, 중장기적으로 미국 증시는 다시 회복될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미국 기업들은 여전히 세계에서 가장 경쟁력 있는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글로벌 투자자들도 결국 다시 미국 시장으로 돌아올 수밖에 없다.
25년 상반기는 위험할 수 있지만, 장기적인 투자 관점에서는 다를 수 있다고 생각한다.
결론적으로, 나는 이번 조치가 단기적으로 불확실성을 키우고 나스닥을 흔들겠지만, 장기적으로 미국 경제와 제조업 부활, 그리고 증시 상승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흘러갈 것이라고 본다.
트럼프의 의도는 결국 미국 중심의 경제 질서 확립이며, 이를 위해 관세를 무기로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2025.02.25 - [경제/시황분석] - 트럼프의 관세정책 인플레이션인가, 디플레이션인가?
트럼프의 관세정책: 인플레이션인가 디플레이션인가?
개요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은 미국 제조업을 보호하고 자국 경제를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지만, 글로벌 경제에는 예상치 못한 파급 효과를 미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관세 부과는 수입품
duksight.tistory.com